2024
.
01
.
25

관계 소통에서 콘텐츠 소비로··· 국내SNS 효용가치는 확장 중

콘텐츠/정보 소비 등 非상호적 목적으로 뚜렷한 변화 보여

국내 소셜미디어가 ‘디지털 커뮤니케이션’이라는 본원적 목적에서 벗어나, 콘텐츠/정보 소비를 위한 채널로의 변화가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.

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㈜디엠씨미디어(대표 이준희)는 자사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지식 포털 ‘디엠씨리포트’가 발표한 ‘2023 소셜미디어 이용행태 및 광고접촉 태도 분석 보고서’를 통해 25일 이같이 밝혔다.

보고서에 따르면, 설문일 기준 최근 1개월 내 소셜미디어 이용 경험이 있는 만19세~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한 결과,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자(87.5%)가 ‘재미있는 콘텐츠를 즐기려고’를 선택했다. 이 답변은 2020년부터 4년 연속 85% 전후의 응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.

뒤이어 ‘필요한 정보 검색을 위해(77.7%)’, ‘취미 관련 정보/콘텐츠를 얻기 위해(75.8%)’, ‘시사정보/소식을 빠르게 접하기 위해(68.2%)’ 등 非상호적 목적의 답변들이 나란히 차순위를 차지했다. 반면 ‘주변 지인과의 소통, 교류’는 2020년 대비 무려 16%P 줄어들며 4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냈다.

DMC미디어는 이러한 추이를 토대로, 소셜미디어가 관계 구축에서 콘텐츠 소비를 위한 채널로서 그 효용 가치가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설명했다.

앞서 콘텐츠 소비 목적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이유가 부각된 것과 같이, 계정별 팔로잉 비중 역시 동일한 맥락을 보였다. 브랜드/인플루언서 및 기타 계정을 팔로잉하는 경우는 약 61%의 응답률을 보이며, 가족/친구/지인 등 직접적 상호관계 성격의 계정(약39%)을 크게 앞섰다. 콘텐츠 소비와 정보 획득, 정보 탐색이라는 소셜미디어 이용의 주목적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.

브랜드 및 인플루언서 계정으로 인한 구매율은 각각 74.5%, 64.9%로 유의미하게 드러나, SNS가 우수한 구매 접점으로써 세일즈 증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됐다. 구매 품목으로는 브랜드 및 기업 계정의 경우, 의류가 39.5%로 가장 응답률이 높았고, 뒤이어 식음료(27.5%), 뷰티/화장품(27%) 등이 선택됐다. 인플루언서 계정의 경우는 요리/음식(28.15%), 유명 맛집/카페(25.1%), 여행(21.8%) 등의 순으로 응답됐다.

이밖에도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소비/작성 행태를 비롯해, 광고 접촉의 양상과 효과 등 2023년의 소셜미디어이용 현황 전반이 보고서에 포함됐다.

디엠씨리포트 관계자는 “SNS의 효용가치 확장에 따라, 이용자의 애착과 몰입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”고 말하며 “이 과정에서 신규 브랜드 및 상품에 대한 인지 경험이 향상되거나, 협찬광고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도 거부감이 낮아지는 등, 소셜미디어가 여전히 온라인 광고매체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”이라 전망했다.

보도기사 보기

콘텐츠/정보 소비 등 非상호적 목적으로 뚜렷한 변화 보여

국내 소셜미디어가 ‘디지털 커뮤니케이션’이라는 본원적 목적에서 벗어나, 콘텐츠/정보 소비를 위한 채널로의 변화가 점차 두드러지고 있다.

디지털마케팅 전문기업 ㈜디엠씨미디어(대표 이준희)는 자사의 디지털 광고마케팅 지식 포털 ‘디엠씨리포트’가 발표한 ‘2023 소셜미디어 이용행태 및 광고접촉 태도 분석 보고서’를 통해 25일 이같이 밝혔다.

보고서에 따르면, 설문일 기준 최근 1개월 내 소셜미디어 이용 경험이 있는 만19세~59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조사한 결과, 소셜미디어를 이용하는 이유로 가장 많은 응답자(87.5%)가 ‘재미있는 콘텐츠를 즐기려고’를 선택했다. 이 답변은 2020년부터 4년 연속 85% 전후의 응답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.

뒤이어 ‘필요한 정보 검색을 위해(77.7%)’, ‘취미 관련 정보/콘텐츠를 얻기 위해(75.8%)’, ‘시사정보/소식을 빠르게 접하기 위해(68.2%)’ 등 非상호적 목적의 답변들이 나란히 차순위를 차지했다. 반면 ‘주변 지인과의 소통, 교류’는 2020년 대비 무려 16%P 줄어들며 4년간 지속적인 하락세를 나타냈다.

DMC미디어는 이러한 추이를 토대로, 소셜미디어가 관계 구축에서 콘텐츠 소비를 위한 채널로서 그 효용 가치가 점차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설명했다.

앞서 콘텐츠 소비 목적으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이유가 부각된 것과 같이, 계정별 팔로잉 비중 역시 동일한 맥락을 보였다. 브랜드/인플루언서 및 기타 계정을 팔로잉하는 경우는 약 61%의 응답률을 보이며, 가족/친구/지인 등 직접적 상호관계 성격의 계정(약39%)을 크게 앞섰다. 콘텐츠 소비와 정보 획득, 정보 탐색이라는 소셜미디어 이용의 주목적 결과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.

브랜드 및 인플루언서 계정으로 인한 구매율은 각각 74.5%, 64.9%로 유의미하게 드러나, SNS가 우수한 구매 접점으로써 세일즈 증대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됐다. 구매 품목으로는 브랜드 및 기업 계정의 경우, 의류가 39.5%로 가장 응답률이 높았고, 뒤이어 식음료(27.5%), 뷰티/화장품(27%) 등이 선택됐다. 인플루언서 계정의 경우는 요리/음식(28.15%), 유명 맛집/카페(25.1%), 여행(21.8%) 등의 순으로 응답됐다.

이밖에도 소셜미디어 콘텐츠의 소비/작성 행태를 비롯해, 광고 접촉의 양상과 효과 등 2023년의 소셜미디어이용 현황 전반이 보고서에 포함됐다.

디엠씨리포트 관계자는 “SNS의 효용가치 확장에 따라, 이용자의 애착과 몰입도는 더욱 높아지고 있다”고 말하며 “이 과정에서 신규 브랜드 및 상품에 대한 인지 경험이 향상되거나, 협찬광고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에도 거부감이 낮아지는 등, 소셜미디어가 여전히 온라인 광고매체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”이라 전망했다.

보도기사 보기